오카리나의 유래와 종류

오카리나란 이름의 의미

오카리나(ocarina)란, 이태리어인 oca와 rina의 합성어 입니다. 

oca는 goose(거위)를 뜻하며, rina는 diminutive(아주 작은)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카리나는 굳이 뜻을 해석하자면 small goose. 즉, 작은 거위로 해석이 가능하지만 지금은 작은 거위라는 의미가 아니라 특정한 악기를 가리키는 하나의 고유명사가 되었습니다. 

오카리나는 처음 제작될 당시 의도적으로 거위나 새를 형상화 한 것이 아니라 당시에 존재했던 간단한 수준의 흙피리를 보다 더 악기적으로 개량을 한 결과물입니다. 이는 미적, 또는 주술적인 면이 적용된 것이 아니라 음악가에 의해 음악적인 기능으로 완성된 형태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완성된 형태가 마치 거위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Ocarina라는 별칭이 악기의 이름이 된 것입니다. 이렇듯 이태리에서 오카리나가 처음 만들어졌을 당시 그 모양을 보고 이름이 생겨났지만 현재에 와서는 형태에 상관없이 흙으로 만든 관악기를 통칭해서 오카리나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OCARINA = OCA + RINA

오카리나의 기원과 발전

흙으로 만들어진 악기는 고대시대부터 존재해왔으며, 세계 각지에서 여러 형태로 발견되었습니다. 

물론 악기적인 면보다는 간단한 음을 낼 수 있는 정도이며, 많은 종류가 다양한 형상을 지닌 것으로 보아 주술적인 성격으로 만들어 진 측면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중 중남미에서 만들어진 이러한 흙피리가 스페인 등에 의해 문명이 정복되면서 유럽에 알려지게되었는데 정복자들은 그들의 국왕에게 새 문명을 소개하는 과정에서 아즈텍의 연주자로 하여금 연주를 시키기도 하였습니다. 

이 때 선을 보였던 무희와 연주는 유명해져 유럽 각지를 돌며 공연을 하게되면서 유럽에 흙피리가 더 널리 알려지게됩니다. 

그로인해 유럽에선 다양한 사람들에 의해(주로 흙을 다루거나 벽돌을 만들던 사람들) 흙피리가 만들어지게 되는데 그 중에서 이태리의 벽돌공이면서 음악가였던 도나티에 의해서 악기적으로 연구되고 개량이 됩니다. 이것이 19세기 중엽의 일입니다. 

이태리식 오카리나의 최초 제작자인 주세페 도나티와 그의 작품들. 

지금과 같은 형태의 오카리나는 1853년 도나티에 의해 처음 만들어졌다.

주세페 도나티는 작곡가이면서 피아노, 클라리넷, 플륫, 바이올린 등 다양한 악기를 다루는 연주자였으며, 벽돌공이기도 하였습니다.

벽돌공이라는 표현은 역사적으로 보면 brickmaker 또는 potter라고 표현되어 있는데, 흙을 다루는 직업을 가졌으며 그 중에서 벽돌도 만들어 팔았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건을 가진 도나티로선 당연히 당시에 존재했던 흙피리에 관심을 가지고 악기로서 좀더 발전시키고자 하는 욕심이 있었을 것입니다. 

도나티는 흙피리를 개량하는데 있어서 참고로 한 악기가 바로 지금의 플룻이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흙피리의 구조가 리드방식이 아닌 엣지방식이 이어서 동일한 발성구조를 가진 플룻을 참고로 한 것이 아닐까 추론을 할 수 있습니다. 세로로 부는 리코더가 아닌, 가로플룻을 참고로 한 이유는 그 당시가 가로로 부는 플룻이 유행하던 시기였기 때문에 도나티 역시 세로가 아닌, 가로로 잡는 형태로 흙피리를 만들었다고 추정됩니다.

물론 기도(바람길)가 없는 플룻에 비해 오카리나는 기도가 있기 때문에 가로로 긴 형태 중간에 기도가 붙어있는 T자 형태로 만들어 지게되었습니다. 그렇게 완성된 형태는 마치 거위를 닮았다고 해서 오카리나란 이름이 붙어졌고 이후 제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전을 하게 됩 니다.

현재 이태리 부드리오 오카리나 박물관에 보관 중인 도나티의 오카리나와 도나티의 고유 마크

오카리나의 종류

오카리나는 발전된 나라별, 형태별, 재료별, 운지법별 등 다양한 기준에 의해 다양한 분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크게 보면 발전된 나라별로 형태와 운지법이 함께 구분이 되어지는데 이러한 발전된 나라별로 분류를 나누어보면 이태리식오카리나, 영국식오카리나, 중국의 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태리식오카리나

이태리식 오카리나는 도나티에 의해 만들어진 형태와 순차적인 운지법을 가진 오카리나를 말합니다. 

가장 대중화되어 있는 악기의 형태입니다.

(이태리식오카리나는 형태로 인해 오리형, T자형으로도 불리는데 형태로 인한 명칭보다는 이태리식오카리나로 부르는 것이 적절한 표현입니다. 흙이라는 재료 특성 상, 같은 운지체계를 가진채로도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의 악기로서형태가 아닌 연주법을 중심으로한 분류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태리 부드리오오카리나와 일본 오카리나 연주자인 소지로의 오카리나

영국식오카리나

영국식오카리나는 둥근형태에 4개의 구멍으로 한옥타브음을 연주할 수 있는 조합식 운지법을 가진 악기를 통칭합니다. 

영국의 '존 테일러(John Tayler)'라는 사람이 1964년 처음으로 영국식 4구멍 오카리나를 만들었고, '존 랭글리(John Langley)' 는 조율된 4구멍 오카리나를 제작했으며 1986년에는 서로 크기가 다른 7개의 일관적으로 조율된 둥근 형태의 오카리나를 완성 했습니다. 또한, 그는 1985년에 엄지 손가락 구멍을 추가함으로서 4구멍 오카리나의 음역을 넓혔고, 1991년에는 두 개의 통을 가진 더 넓은 음역을 갖춘 'Duet' 오카리나를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영국식오카리나는 가장 기본이 되는 둥근형태라는 특징때문에 다양한 모양의 오카리나로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때문에 형태에 상관없이 이러한 운지법을 가진 오카리나를 영국식오카리나라고 분류합니다. 

(영국식 오카리나는 Langley社의 오카리나가 가장 대표적이라 랭글리형오카리나로 불리거나, 둥근 형태로 인해 원형오카리나 로도 불리지만, 특정회사의 이름 또는 형태로 인한 명칭보다는 영국식오카리나로 부르는 것이 적절한 표현입니다.)

영국의 랭글리오카리나와 다양한 형태의 영국식 오카리나

훈은 일명 아시아의 오카리나란 표현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중국에서 발전된 흙피리입니다. 

고대 중국의 전쟁에서 사용된 돌맹이를 멀리 던지기 위한 돌팔매 같은 무기에서 유래가 되었는데, 부피가 있으면서 멀리던지기 위해 구멍이 많이 뚫린 가벼운 돌을 주로 활용하였습니다. 그런데 가죽끈 끝에 걸친 이러한 돌을 돌렸을 때 소리가 나는 것을 보고 흙으로 속이 빈 형태를 만들어 바람을 불어 넣으니 비슷한 소리가 나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악기로 발전시킨 것입니다.(영화 부시맨에서의 콜라병을 떠올리시면 됩니다.)

이후 훈은 우리나라와 일본 등 아시아 각지로 퍼져나갔습니다.

 훈은 흙으로 만들어진 악기이지만 다른 오카리나와 달리 소리를 내는 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습니다. 오카리나가 에지(edge)방식에 의한 소리와 옹기형 구조로 인한 울림을 함께 가진 악기라면 훈은 옹기형 악기(vessel flute)의 특징이 더 강조된 악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별도의 기도가 따로 있지 않으며, 위에 뚫린 구멍으로 인해 몸체가 에지가 되기도하며 악기 전체가 울리며 음을 내는 구조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선 고려시대에 들어와 예종 때부터 아악기로 연주되었습니다. 보통 기와흙을 구워 만들거나, 황토에 솜을 섞어 속이 비어있는 저울추 모양이나 큰 복숭아 모양으로 만드는데, 밑을 평평하게 하고,겉은 검은칠을 합니다. 

최근에는 모양과 음역적인 면에서 많이 개량되어 세련된 형태에 평균율로 조율되어 현대적인 음악도 연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중국에서 발굴된 고대 훈과 개량된 훈

그 외에 수많은 제작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운지법으로 오카리나들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화음연주와 보다 넒은 음역을 연주할 수 있는 듀엣이나 트리플 오카리나, 더 넓은 음역을 위해 개량된 운지법들이 수많은 제작자들에 의해 새로 만들어지고 발전되어가고 있습니다.

재료에 의한 분류

재료에 의한 분류를 나누어보면 오카리나는 단순히 흙으로 구현된 관악기라는 점 이외에 오카리나만의 특징이 몇 가지가 더 있습니다. 그것은 막혀있는 옹기형이면서 기도와 에지라는 발성 구조가 결합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재료를 가지고 이러한 오카리나의 특징을 구현한 것들이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면, 나무 오카리나, 종이 오카리나, 금속 오카리나, 알 오카리나, 플리스틱 오카리나,뿔 오카리나 등등이 있습니다. 

물론 그 외에도 여러 재료를 가지고 얼마든지 이러한 특징을 재현하여 더욱 더 다양한 오카리나를 만들 수 있습니다. 


나무오카리나

우선 나무는 관악기를 만들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입니다. 그렇기에 오카리나 역시 나무로 만들려는 시도가 많았습니다. 나무오카리나의 장점은 흙으로 만들어진 오카리나처럼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는 점, 쉽게 깨지지 않는 다는 점, 흙에 비해 가볍다는 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오카리나를 흉내낸 나무오카리나 이외에 별개의 악기로서 존재하는 악기도 있습니다. 바로 헝가리의 민속악기입니다. 헝가리의 민속악기는 그 구조가 오카리나처럼 막혀있는 관 형태입니다. 그러다보니 일본에선 이 악기를 나무오카리나란 의미로 코카리나라고 이름을 붙여 부르고 있습니다. 나무오카리나는 재료의 특성 상 흙으로 만들어진 오카리나에 비해 좀 더 가벼운 소리를 냅니다.

미국의 Charlie Hind씨가 만든 나무오카리나와 헝가리의 민속악기가 원형인 일본의 코카리나, 한국의 고현일님이 만든 나무소리오카리나

종이오카리나

종이오카리나는 전문적인 연주용 악기라기보다는 공예적인 측면에서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인 종이를 가지고 직접 오카리나를 만들어봄으로써 오카리나의 소리나는 구조를 이해 할 수 있습니다.

금속오카리나

관악기를 만드는 주재료 중 하나인 금속 역시 오카리나를 만들어보려는 시도가 존재했습니다. 

그러나 다른 금관악기처럼 오랫동안 수많은 연구를 거듭하지 않았기 때문에 구현의 시도는 있었지만 아직까진 완성도 있는 금속오카리나는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금속으로 구현된 이태리식오카리나와, 피치 조절용으로 추정되는 피스톤이 달린 금속오카리나

알오카리나

오카리나가 막혀있는 옹기형 악기이다보니 알은 오카리나를 만들어보는데 적격인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재료 특성 상 실험적이며 공예적인 측면이 큽니다.

뿔오카리나

뿔오카리나는 오카리나로 분류하기 이전에 원래 존재했었던 겜스호른(gems horn)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겜스호른이란 뿔의 내부를 파내 만들어진 피리입니다. 그러나 구조가 오카리나와 마찬가지로 막혀있는 구조이지만 막혀있는 관악기가 오카리나만의 고유 특성이라고만은 볼 수 없기에 겜스호른으로 따로 부르는 것이 더 적절한 표현입니다. 

물론 겜스호른이 아닌 오카리나를 구현하기위해 일부러 만들어진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엔 뿔오카리나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겜스호른의 모습과 단면도. 오카리나와 구조가 흡사하다.

플라스틱오카리나

플라스틱오카리나는 플라스틱이라는 대량생산성의 특징을 가진 재료의 발전과 함께 등장하며 발전하였습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군인들에겐 플라스틱오카리나가 지급되기도 하였으며, 일정한 품질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제작단가를 무척 낮출 수 있는 점으로 인해 오카리나의 플라스틱 구현은 예전부터 국내외 적으로 많이 시도되고 존재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각종 기술의 발전으로 3D스캔등의 기술을 통해 보다 완성도 높은 플라스틱오카리나가 만들어지고 있으나 그러한 제품들 대부분이 초기에는 기존의 개인제작자들이 오랜 기간 연구하고 구현해낸 완성도 높은 제품들을 카피한 것들이 많아 제작과정 상의 양심의 문제가 거론되기도 하였습니다. 

최근에는 교육용 시장을 노린 제조사들의 난립과 초기의 비싼 몰드 제작비용으로 인해, 다른 제품의 몰드를 돌려쓰는 경우도 많아 제품명과 겉모습만 다른채 내부 구조는 동일한 경우도 많습니다.(어찌보면 상향평준화?)

또한 플라스틱 재료의 특성 상 수분을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이슬맺힘 현상으로 인한 기도 막힘 증상 등으로 인해, 일부러 수분을 흡수하도록 만들어지는 오카리나에 비해 연습이나 연주 시 불안한 요소가 있으며, 오카리나의 본래 음색을 구현하기 힘든 측면도 있습니다. 물론 저렴한 가격과 적은 파손의 위험이라는 장점도 있으나 이러한 플라스틱오카리나로 인한 대중화는 기존의 오카리나를 발전시켰던 개인 제작자들의 생존의 위협과 악기로서의 가치 및 인식의 하락, 무분별한 카피로 인한 연구 성과의 도용 등의 문제가 심각한 실정으로 인해 개인 제작자들과 오카리나매니아들 사이에선 결코 반가운 존재로 인식되고 있지 않습니다.


악기적 성능이나 완성도로만 보자면, 대략 2만원 내외의 제품들은 오히려(일정한 품질로 대량 생산되므로) 어설픈 수제오카리나들보단 낫기도 하며, 문방구에서 몇 천원 수준으로 팔리는 제품들은 음정의 부정확성 및 음색의 형편없음으로 인해 안사니만 못한 것이 현실입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군인들에게 지급된 플라스틱오카리나와 교본, 그리고 장난감 오카리나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밴드
floating-button-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