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에서
연습이 끝났으면 이제 실전에서 사용해봅시다.
1. 노트북 배터리 충전은 100%로
노트북은 배터리로 작동되기 때문에, 다른 기기형반주기들 처럼 어댑터를 연결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배터리가 여유가 있어야 마음도 편안하겠죠? 비상 시를 대비해서 어댑터도 꼭 챙겨서 나갑시다. 밤새 밴드윈과 함께 노래부르고 놀지도 모르잖아요.
2. 비행기모드로
스마트폰처럼 노트북도 비행기모드가 있습니다. 비행기모드는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등 모든 네트워크 연결을 끊는 모드입니다.
인터넷 연결을 시도하려는 작동이나, 인터넷 연결 후 나타날 수 있는 각종 백신의 실시간 감시, 업데이트 알림, 경고창, 경고음 등등 온갖 연주의 방해요소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3. 방해금지모드까지
윈도의 방해금지 모드까지 설정해 놓으면 좀 더 안심하고 연주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방해금지 모드를 켜놓으면 인터넷 연결여부와 상관없이 작동되는 정기적인 알림이나 오류 메시지 등 모든 알림이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4. 화면 밝기는 100%로
실내와 달리 실외의 햇빛은 여러분의 생각보다 엄청 밝습니다. 때문에 노트북의 화면이 잘 보이지 않을 수 있으니, 화면밝기는 100%로 해야 그나마 악보가 잘 보일겁니다. 실내일 경우라로 화면이 밝으면 밝을수록 좋습니다.
5. 낮 야외 연주는 그늘에서
실외의 직사광선은 생각보다 뜨겁습니다. 특히나 노트북같은 기기는 평소에도 CPU가 고열을 내기때문에 내장된 팬이 부지런히 식혀주고 있지만, 햇빛까지 오랫동안 받고 있으면 불과 몇 분 만에 과열로 이상작동이 발생됩니다. 특히나 여름에는 무조건 그늘에서 연주하셔야하며, 무엇보다 그늘이 화면도 잘 보입니다.
6. 음향팀과의 사전 조율은 필수
음향팀에게 공연 전에 꼭 무대에서 노트북 사용을 알려주세요. 현장에서 당일날 노트북에 연결할 케이블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다양한 케이블 및 젠더를 준비하고 있다면 더 좋습니다. 무대환경은 다양하니까요.
7. 리허설은 무조건
리허설은 무조건하세요. 음향체크는 물론이고, 무대에 올라서 밴드윈을 어떻게 조작해서 어떤 순서로 어떻게 연주를 진행해 나갈 지 시뮬레이션을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밴드윈 조작과 무대 분위기에 적응된다면 현장에서 바로 신청곡을 받아서 연주해주는 것도 가능합니다.
8. 별도의 그룹에 애창곡을 지정해놓자.
애창곡그룹 하나를 지정하거나 생성해서 공연 때 연주할 곡들을 미리 설정해서 저장해놓으세요.
무대 위에서 일일히 검색하고, 음역 설정하는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한 그룹에 넣어놓으면 좀 더 낭비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겠죠?
9. 시계와 타이머를 활용하세요.
밴드윈 우측 하단의 시계와 타이머를 활용하세요.
만약 여러분에게 20분의 연주 시간이 주어졌다면, 무대에 올라서 타이머를 초기화하세요. 그리고 연주곡이 한 곡씩 끝날 때마다 타이머를 보고 연주를 마칠지, 연주를 더 할지 판단할 수 있을 겁니다.
혹은 특정 시간까지 연주를 해야한다면 현재시간을 확인해가며 연주를 할 수 있을 겁니다. 무대에서 일일히 스마트폰을 꺼내고 켜서 시간을 확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10. 미리 인터넷 연결상태에서 밴드윈을 실행해 놓으세요.
밴드윈은 불법복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밴드윈 실행 시 마다, 전용서버를 통해 설치된 기기환경과 고유 시리얼번호를 체크하고 있습니다.
이를 피해가는 방법은 인터넷 연결을 하지 않고 쓰는 것인데, 이러한 꼼수를 방지하기 위해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실행 횟수를 제한해 놓았습니다.
즉, 평소에 인터넷을 연결하지 않고 사용하다가, 무대에서 갑자기 밴드윈이 실행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공연 전날 미리 와이파이등을 이용해 인터넷을 연결한 상태에서 밴드윈을 실행해 놓으면 당분간은 문제없이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와이파이가 없는 야외 등의 환경에서 인터넷 연결이 필요하다는 메시지와 함께 밴드윈을 실행할 수 없다면, 스마트폰의 핫스팟 기능을 통해 와이파이 연결을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사용법은 끝났습니다.
이제 더 많은 팁과 문제해결 방법을 통해 밴드윈을 100% 활용해봅시다.